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사모펀드의 정의와 종류

by §★※○§ 2022. 10. 20.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적 공모의 방식으로 투자자를 모으는 펀드를 공모펀드라고 합니다. 이와 달리 비공개로 소수의 투자자들을 모집하는 것은 사모펀드라고 합니다. 다양한 형태의 사모펀드 종류를 알아보고, 사모펀드를 바라보는 찬반 관점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 PEF) vs. 공모펀드(Public Offering Fund)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공모펀드는 자본시장법에 따른 공개적 방식으로 투자자를 모으는 것이라서 투자자 보호를 위한 분산투자, 자산운용규제, 투자설명서 설명 및 교무의 의무, 외부감사 등 엄격한 규제가 적용되나, 사모펀드는 비공개적으로 투자자를 모아 다양한 형태로 투자 수익을 낼 수 있고, 공모펀드와 달리 운용에 대한 제한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공모펀드는 동일종목에 신탁재산의 10% 이상을 투자할 수 없으며, 동일회사 발행주식의 20% 이상 매입할 수 없으나, 사모펀드는 해당 규제가 없어 한 종목에 신탁재산의 100%까지 투자할 수 있습니다. 

 

사모펀드를 바라보는 찬성과 반대의 관점

사모펀드의 주요 투자 전략은 자산가치가 저평가된 기업에 투자하여 기업의 가치를 높인 다음 해당 기업의 주식을 되팔아 이득을 취하는 것입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자금조달이 여의치 않은 상황 속에 사모펀드의 지원을 받아 자금을 융통하게 되고 기업의 부도와 같은 상황을 막아줘 거시적으로는 국가 경제를 살리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사모펀드가 그저 운영권을 이동만을 보여주며 실제 기업에는 아무런 가치를 만들지 못하는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사모펀드가 돈만 된다면 가차 없이 운영권을 가진 기업을 매각함으로써 본인들의 돈을 최선을 다해 불려주는 것으로 볼 수도 있으나, 해당 기업은 몇 번 팔려나가다가 결국 구조조정을 당하게 되어 오히려 국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것입니다.

 

사모펀드의 종류

  • LBO (Leveraged Buyout Fund; 차입매수펀드) : 일반적인 사모펀드의 형태로써, 은행에서 빚을 내어 회사를 산 후 어떤 형태로든 기업의 가치를 올려 비싼 값으로 회사를 팔아서 수익을 내는 투자형태입니다. 이러한 운용형태는 장기적으로 회사를 운영한다기보다는 단기적인 수익을 추구하게 되어 공격적인 해당 기업에서 일하는 구성원들은 구조조정을 당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 VC (Venture Capital Fund; 벤처 캐피털 펀드) : 앞으로 전도유망한 기술이나 신사업모델을 가지고 있는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대부분 경우 투자금액을 회수할 가능성이 거의 없으나, 그 와중에 한번 제대로 성공을 하면 엄청난 이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 군데의 스타트업에만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군데의 스타트업에 투자하여 투자 성공 확률을 높이게 됩니다. 
  • 성장자본투자 (Growth Capital / Grouth Equity Fund) : VC가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투자하는 것이라면 성장자본투자 방식은 어느 정도 성장한 회사들을 대상으로 투자하는 것으로써, 이미 성장한 기업들은 투자금을 더 많이 유치할 수 있으므로 VC보다 안정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투자한 기업을 더욱 성장시켜 추후 M&A나 기업공개(IPO)를 통해 큰 수익을 실현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