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경상수지의 뜻과 종류 (무역수지 및 무역외수지)

by §★※○§ 2022. 9. 7.

국제 간의 거래로 발생한 수지타산을 국제수지라고 하는데, 크게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로 나누어집니다. 그중 경상수지는 다시 무역수지와 무역외수지로 나뉘게 됩니다. 주로 국가 경제 상황을 얘기할 때 경상수지와 그 하위 개념인 무역수지를 활용하게 되는데, 경상수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상수지

우선, '수지'란 수입과 지출이란 거래에서 얻는 이익을 뜻하는 말입니다. 일정기간 동안 한 국가가 타국가와 거래한 내역을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이 국제수지입니다. 그중 경상수지는 일반적인 상거래, 즉 상품이나 서비스 거래를 대상으로 수출과 수입에서 발생한 수지타산을 의미합니다.

만약 수출을 통해 늘어나는 생산과 일자리가 수입으로 인해 줄어드는 것보다 크면 경상수지는 흑자라고 하고, 그와 반대로 소득 수준이 낮아지고 실업이 늘어남과 동시에 외채가 늘어나면 경상수지 적자라고 합니다. 나아가 국내외 여건 약화로 자본유입이 급격히 둔화되거나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할 경우에는 외환위기에 처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경상수지는 다시 무역수지와 무역외수지(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로 나뉘어 집니다.

  • 무역수지 : 무역으로 발생하는 국제수지, 즉 일정기간 무역을 통한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이를 말합니다. 만약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많다면 무역수지가 흑자라고 표현하게 됩니다. 이러한 무역수지는 경기 순환 등을 반영하게 되어 해당 국가 산업의 경쟁력을 보여주고, 국제수지 항목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즉, 간단히 얘기하면 우리나라가 외화를 많이 벌면 무역수지가 올라가고, 반대로 외화를 많이 지출하면 무역수지가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 서비스수지 : 여행, 통신서비스, 보험, 특허권과 같은 서비스와 관련한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뜻합니다. 내국인이 해외를 방문하여 서비스를 받을 목적으로 지불한 금액의 총합과 외국인이 국내를 방문하여 지불한 총금액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 소득수지 : 내국인이 외국에서 일하여 벌어들인 돈과 국내에서 일하는 외국인에게 지급된 돈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임금 수당뿐 아니라 투자로 인한 배당 및 이자소득도 포함되어 비교하게 됩니다.
  • 경상이전수지 : 개인 간의 송금뿐 아니라 위기에 처한 국가를 위한 무상원조에 들어간 재화들을 비교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