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FED의 FOMC에서 금리 인상 여부와 관련해서 지속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때의 발언에 따라 우리나라에도 기준금리에 영향을 미치며, 그로 인해 국내 금융 시장에 많은 파장이 발생합니다. 기준금리란 무엇이며 그 변화에 따른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준금리(Base Rate)의 정의
한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 금리로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하는 것입니다. 한국은행에서 국내외 경제상황의 변화에 맞추어 기준금리를 유동적으로 정하게 되고, 이는 곧 각종 금리의 기준이 됩니다. 초단기 금리인 콜금리에는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곧이어 장기 시장금리, 예금 및 대출 금리에 변동을 일으켜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기준금리의 인하
만약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하는 경우, 단기 금융시장에 바로 영향을 주게 됩니다. 즉, 은행들 간 초단기 자금 거래 금리인 콜금리, CD금리, CP금리가 내려가게 됩니다. 이러한 단기금리의 하락은 예금금리의 하락으로 이어지며, 대출금리도 내려가게 됩니다. 또한 기업들이 자금조달을 위해 발생하는 회사채와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 금리도 하락하게 됩니다. 이렇게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채권금리 등 시중금리가 내려가게 되면 이자부담이 줄어들어 대출량이 늘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 가계와 기업의 소비 및 투자가 살아나고, 수출에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경기가 활성화됩니다. 그리고 주식 및 부동산과 같은 자산 시장에 대한 투자도 증가하면서 물가도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즉, 경기부양이 필요할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하라는 카드를 쓰게 됩니다.
기준금리의 인상
위와는 반대로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경우, 대출이자와 예금이자가 모두 오르게 됩니다. 따라서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은 금리의 부담이 커졌으므로 대출을 꺼리게 될 것이고, 예금을 하지 않았던 사람들은 예금 이자가 올랐으니 예금에 돈이 몰릴 것입니다. 따라서, 대출량은 줄어들게 되고, 시장에서는 돈을 은행에 저축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소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기업에서도 대출 이자가 올라가게 되면 대출을 통한 신규 투자는 축소하게 되고, 유동자산이 줄어들게 됩니다. 은행에서도 인상된 기준금리에 맞춰 더 높은 대출 이자를 채무자에게 요구하게 되는데 채무자는 이를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은행은 저신용자들에 대한 대출을 기피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시장에 유동성이 부족하게 됩니다. 주식 및 부동산과 같은 자산 시장에도 영향을 받게 되는데, 주식이나 부동산을 통한 수익이 대출 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내지 못한다면 이자의 부담이 커지게 되고 이는 곧 해당 자산을 보유한 사람의 자산 평가액 축소로 이어집니다.
즉,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카드가 필요할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게 됩니다.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심전환대출 제도 및 신청자격 (0) | 2022.09.18 |
---|---|
통화 스와프 (feat. 한미 통화 스와프) (0) | 2022.09.15 |
P2P 대출의 정의 및 P2P 대출 절차 (1) | 2022.09.10 |
경상수지의 뜻과 종류 (무역수지 및 무역외수지) (0) | 2022.09.07 |
뮤추얼펀드의 정의와 특징 (1) | 2022.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