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운영되어온 리츠가 국내에서는 최근 1~2년 동안 본격적으로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부동산에 직접 투자하기 어려운 개인들은 간접적으로 리츠 상품을 통해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럼 리츠란 무엇이며 그 특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리츠(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의 정의
리츠(REITs)의 뜻을 풀어서 얘기하면 부동산 투자신탁으로, 투자자들로부터 모은 자금을 가지고 부동산이나 부동산 관련 자본 지분에 투자하여 발생하는 수익을 다시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회사를 뜻하며, 일종의 증권의 뮤추얼펀드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해당 제도의 시작은 1938년 스위스였으며,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특히 독일, 미국 등에서 급격히 발전하였습니다.
리츠는 설립 형태에 따라서 크게 회사형과 신탁형으로 구분되며, 회사형 리츠는 증권의 뮤추얼펀드와 마찬가지로 주식 발행을 통해 투자자를 모으게 되고 투자자에게 일정기간을 단위로 배당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증권시장에 상장하여 해당 주식의 매매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신탁형은 운용을 타인에게 신탁하는 방식으로 수익증권을 발행하여 투자자를 모으기 때문에 증권시장 상장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리츠의 특징
제일 중요한 특징으로 안정적인 배당소득을 들 수 있습니다. 리츠는 부동산 투자회사법에 따라 법인세 면제를 받기 위해서 매년 배당가능 이익의 90% 이상을 의무적으로 배당해야 합니다. 해당 특징이 안정성을 추구하는 가치투자자에게는 매우 매력적인 조건일 것입니다. 그리고 안정적 실물자산인 부동산 대체 투자 방식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쓰이며, 수익이 부동산 임대료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임대료 인상을 통한 수익률을 올릴 수도 있습니다. 또한 중위험, 중수익 자산으로 낮은 변동성을 가져 주식과 채권의 중간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형 리츠 같은 경우는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현금화도 용이합니다. 마지막으로 주식시장에 상장된 경우 일반 주식처럼 개인투자자들도 소액으로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습니다.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상증자의 뜻과 장정 및 단점 (0) | 2022.10.02 |
---|---|
무상증자의 뜻과 의미 (0) | 2022.10.01 |
대차대조표 항목(자산, 부채, 자본) (0) | 2022.09.29 |
CDS 프리미엄과 외평채 가산금리 (1) | 2022.09.28 |
국제통화기금(IMF)과 신흥국의 현재 상황 (0) | 2022.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