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무상증자와 함께 또 다른 증자 방식의 하나는 유상증자입니다. 무상증자는 기업의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전환하여 주식을 발행하여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방식이었는데, 유상증자는 무엇이며 어떤 식으로 증자가 이루어지고 시장에는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상증자의 뜻
회사가 사업을 진행하려면 돈이 필요하게 됩니다. 회사에서 돈을 마련하는 방법으로 회사채를 발행한다거나, 아님 금융권으로부터 대출을 하거나,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는 것이 증자이며, 증자는 대가 없이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무상증자와 주주들로부터 대가를 받고 주식을 나눠주는 유상증자가 있습니다.
유상증자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사회의 결의를 통해 발행할 주식수, 배정기준일, 청약일정 등을 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신주인수권을 어떤 방식으로 할당할 것인지를 정하고, 주당 기준 가격을 정하게 됩니다. 기준 가격은 크게 액면발행과 시가 발행 두 가지로 나뉘며, 액면발행의 경우는 말 그대로 액면 가격을 기준으로 발행하게 되고, 시가발행은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기준으로 기준 가격을 정하게 됩니다.
유상증자의 장점 및 단점
유상증자의 큰 장점은 회사채나 대출과 달리 원금과 이자상환에 대한 부담이 없습니다. 단지 배당금을 지급하는 회사라면 주주의 보유 주수에 비례하여 배당금만 잘 지급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유상증자를 통해 마련한 자본금은 여유롭게 운영할 수 있는 자본으로써 회사가 중장기적인 사업에 투자하고 있는 경우 유용합니다. 추가로 유상증자로 마련한 돈은 자본금으로 편입되기 때문에 기업 신용도를 올려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하지만, 유상증자를 진행하게 되면 회사가 발행한 전체 주식수가 늘어나게 되고, 일시적인 주가 하락을 맞이하게 되어 기존 주주들이 피해를 입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유상증자를 하게 되는 이유가 회사의 시기적절한 투자를 통해 회사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이라면 중장기적으로는 주가가 올라가는 효과를 일으키게 됩니다. 그리고 투자자들이 가장 조심해야 할 부분이 있는데, 간혹 유상증자가 기업의 미래 발전을 위한 것이 아닌 단기적 실적 부진을 채우고자 하는 것이라면 최대한 투자를 제고하여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년 금융 위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역대 금융위기 ②) (0) | 2022.10.04 |
---|---|
IMF 외환위기 (역대 금융위기 ①) (0) | 2022.10.03 |
무상증자의 뜻과 의미 (0) | 2022.10.01 |
리츠(REITs)의 정의와 특징 (1) | 2022.09.30 |
대차대조표 항목(자산, 부채, 자본) (0) | 2022.09.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