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서 종종 어느 회사에서 증자를 한다는 소식을 접하게 됩니다. 증자라는 건 기업이 자본금을 늘린다는 것인데, 증자의 종류에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가 있습니다. 유상증자는 별도의 포스팅을 통해 설명드릴 예정이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무상증자의 뜻과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상증자의 뜻
무상증자는 말 그대로 아무 대가 없이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기존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방식의 증자를 뜻합니다. 주주들에게 돈을 받지 않고 증자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은 대차대조표를 통해 재정상태를 관리하게 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듯이 대차대조표 항목으로는 자산, 부채, 자본이 있습니다. 그중 자본은 다시 자본금과 잉여금(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으로 나뉘게 됩니다. 여기서 잉여금은 회사가 영업을 통해 번 이익 가운데 주주에게 배당금을 지급한 뒤 남은 돈을 말하며, 해당 잉여금을 가지고 주식 발행을 하여 자본금으로 옮기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자본금과 발행 주식수는 늘어나지만 사실상 회사의 자산 크기는 변하지 않습니다. 단순히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긴 것이기 때문입니다.
무상증자의 의미
위와 같이 사실상 회사의 자산의 크기에 변화를 주지 않는 무상증자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무상증자를 많이 하는 이유는 회사의 주가 부양을 위해서입니다. 잉여금으로 주식을 추가 발행하여 공짜로 주주들에게 주식을 나눠주면 주주들은 주식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주주들 입장에서는 좋은 일입니다. 그리고 무상증자를 한다는 것 자체가 잉여금이 충분하다는 것을 대변하기 때문에 증권시장에서는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받아들이게 됩니다. 따라서, 해당 기업의 주식이 증권시장에서 인기가 높아져 단기적으로 주가가 상승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조건 이러한 무상증자가 증권시장에서 호재로 작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투자자들은 조심을 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 간혹 무상증자를 발표하기 전에 미리 해당 기업의 주식을 많이 매입해 두었다가 무상증자 발표 후에 단기 주가 상승 시 매도하여 차익을 챙기는 세력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무상증자의 공시만을 보고 주가 상승을 기대하여 무분별한 주식 매수는 조심해야 합니다.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F 외환위기 (역대 금융위기 ①) (0) | 2022.10.03 |
---|---|
유상증자의 뜻과 장정 및 단점 (0) | 2022.10.02 |
리츠(REITs)의 정의와 특징 (1) | 2022.09.30 |
대차대조표 항목(자산, 부채, 자본) (0) | 2022.09.29 |
CDS 프리미엄과 외평채 가산금리 (1) | 2022.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