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자본잠식의 정의 및 해결방안

by §★※○§ 2022. 10. 5.

환율이 치솟으면서 아시아나 항공 및 저가항공사(LCC)들이 3분기 말 기준 완전 자본잠식에 빠질 위기에 놓였습니다. 환율의 상승으로 인한 외화부채 및 항공기 구매 또는 리스 과정에서 비용이 과도하게 빠져나갔기 때문입니다. 그럼 자본잠식이란 어떤 경우를 말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본잠식의 정의

자본잠식은 기업의 자본 총합계가 자본금보다 작아지기 시작 한때를 말합니다. 즉, 최초 투자금액을 까먹기 시작한 시점입니다. 재무제표에서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으로 맞춰져 있으며, 자본 내에는 자본금, 이익잉여금 등의 항목이 있으며 자본금은 주식회사가 처음 설립할 때 납입한 출자금 및 주주의 출자금으로 구성된 것입니다. 이 자본금에서 자본을 뺀 값은 음수여야 하는데, 자산과 부채의 평가 차이로 인해 회계상 적자가 누적되면 자본금에서 자기 자본을 뺀 값이 양수가 되게 됩니다. 이를 부분 자본잠식이라 합니다. 만약 회사를 청산하게 되더라도 원래 투자된 자본금보다 적은 돈이 남게 되어 투자자들의 돈을 까먹는 상황인 것입니다. 그러다가 완전히 자본금을 다 까먹게 되면 이를 완전 자본잠식이라고 하여, 기업의 부채가 기업이 가진 자본을 초과한 상태를 얘기합니다. 일반적으로 완전 자본잠식 상태가 되면 기업은 사실상 파산을 앞두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이 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게 되고, 2년의 유예기간 동안 해결하지 못한다면 상장폐지가 됩니다. 만약 완전 자본잠식이면 상장폐지가 되게 됩니다.

 

자본잠식 해결방안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추가 자본금을 납입하여 자본총계를 양수로 되돌려 놓아야 합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유상증자를 진행해야 하는데, 이미 자본잠식에 빠진 회사에 투자를 할 투자자는 거의 없기 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만약 해당 기업이 파산할 경우 국가적으로 피해가 막심할 경우에는 국가에서 보조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무상감자가 있습니다. 감자는 기발행된 주식수를 줄여 기업의 누적 결손금(이익잉여금의 감소분)을 주주의 손실로 처리하는 것인데, 이는 자본금 자체를 줄이는 것이기 때문에 시장에 악재로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기업 분석 시 자본잠식에 대해서도 면밀히 조사한 뒤 투자를 해야겠습니다.

댓글